JAVA (17) 썸네일형 리스트형 [ JAVA / 자바 ] try catch finally 사용법 • try catch finally - try 구문에서 에러가 나면 try의 남은 소스를 더이상 진행하지 않고 catch에서 예외 처리를 한다. 그 후, 남은 코드를 실행한다. - finally 구문은 try catch 이후 마지막에 반드시 실행된다. - 정상 동작 시, try의 코드를 다 진행하고 남은 코드를 실행한다. - 개발자가 예외 처리를 해줄 수 있다. ArithmeticException 어떤 수를 0으로 나눌 때 발생함 NullPointerException null 객체를 참조하는 경우 ClassCastException 적절치 못하게 클래스를 형변환하는 경우 NegativeArraySizeException 배열의 크기가 음수값인 경우 OutOfMemoryException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.. [ JAVA / 자바 ] HashMap 이란? HashMap 사용법 • HashMap 이란? Map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대표적인 Map 컬렉션이다. HashMap은 내부에 'key'와 'value'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를 가지고 있다. • HashMap 사용법 import java.util.HashMap; HashMap map = new HashMap(); • HashMap 값추가 - put() map.put("model", "iPhone 12"); map.put("year", "2021"); map.put("color", "white"); • HashMap 값 삭제 - remove(), clear() // 해쉬맵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 map.remove("color"); // 해쉬맵에 저장된 모든 값 삭제 map.clear() • HashMap 값 출력 - get().. [ JAVA / 자바 ] ArrayList 란 ? ArrayList 사용법 • ArrayList란? ArrayList는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리스트로 배열처럼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사용하며, 객체가 추가되면서 필요할 경우 자동으로 크기가 늘어나도록 구현되어 있다. • ArrayList 사용법 import java.util.ArrayList; ArrayList list = new ArrayList(); • ArrayList 값 추가 - add() 메소드 list.add("a"); list.add("b"); list.add(1, "c"); // 2번째 위치(a와 b사이)에 값 추가 • ArrayList 값 삭제 - remove(), clear() 메소드 list.remove(1); // 1번 값 삭제 list.clear(); // ArrayList 비우기 • ArrayLi.. [ JAVA / 자바 ] 인터페이스란 ? 인터페이스 사용법 • 인터페이스란 ? 다른 클래스를 작성할 때 기본이 되는 틀을 제공하면서, 다른 클래스 사이의 중간 매개 역할까지 담당하는 추상 클래스를 의미한다. 인터페이스는 오로지 추상 메소드와 상수만을 포함할 수 있다. • 인터페이스의 특징 1) 다중 상속 가능 2) 추상 메소드만 보유 3) 생성자 생성 불가 4) 메소드 오버라이딩 필수 • 인터페이스의 선언 접근제어자 interface 인터페이스명 { public static final 타입 상수이름 = 값; ... public abstract 메소드명(매개변수); } • 인터페이스의 구현 class 클래스명 implements 인터페이스명 { ... } • 인터페이스 예제 // 인터페이스 // PlayinCard.java public interface Playi.. [ JAVA / 자바 ] 추상클래스란? 추상클래스의 사용법 • 추상클래스란 ? : 하나 이상의 추상 메소드를 포함하는 클래스이다. 추상 메서드는 선언만 하고 구현하지 않은 메서드로 abstract를 명시한다. • 추상 클래스 사용법 - 클래스 정의 시 abstract를 명시한다. - 추상 메서드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. - 추상 클래스는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객체를 생성할 수 없다. - 하위 클래스에서 상속 받은 모든 추상 메서드를 구현하면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. - 하위 클래스에서 추상 메서드를 모두 구현하지 않으면 추상 메서드가 하나라도 구현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으면 그 하위 클래스도 추상 클래스이다. - 추상 클래스는 하위 클래스의 공통점을 뽑아 상속해줄 목적으로 만들고, 하위 클래스에 기본 틀을 제공한다. • 추상 클래스 예제 // GrandParen.. [ JAVA / 자바 ] 업캐스팅(Upcasting), 다운캐스팅(Downcasting)이란? • 캐스팅(Casting)이란 ? : 타입을 변환하는 것을 말하며 형변환이라고도 한다. 자바의 상속 관계에 있는 부모와 자식 클래스 간에는 서로 간의 형 변환이 가능하다. • 업캐스팅(Upcasting) - 상속 관계에서 데이터타입을 부모클래스로 선언하는것 • 업캐스팅 예제 // 부모클래스 // UpCastingParent.java public class UpCastingParent { int x; int y; public UpCastingParent() { x = 10; y = 20; } public void print() { System.out.println(x + ", " + y); } public int add() { System.out.println("Parent의 add 함수 호출"); ret.. [ JAVA / 자바 ] 부모생성자 호출을 위한 super 사용법 super()은 부모클래스의 함수 뿐만 아니라 생성자도 호출할 수 있다. super 사용 예제 // 부모 클래스 // Person.java package main.person; public class Person { // 상속받은 클래스만 접근 가능 protected int num; protected String name; protected String dept; protected String address; public Person() { } public Person(int num, String name, String dept, String address) { this.num = num; this.name = name; this.dept = dept; this.address = address; } pu.. [ JAVA / 자바 ] super 란? super 사용법 • super 란? -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로부터 상속 받은 멤버를 참조할 때 사용하는 참조 변수이다. 부모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의 멤버 이름이 같을 경우 super를 사용한다. • super 사용 예제 // Parent.java public class Parent { String name; int age; private int money; Parent() { System.out.println("Parent 생성자가 호출됨"); } void print() { System.out.println("name : " + name); System.out.println("age : " + age); } public int getMoney() { return money; } public void setMoney.. 이전 1 2 3 다음 목록 더보기